TyDiQA1.0

The Typologically Different Question Answering Dataset

Predictions

Scores

복음주의

The Typologically Different Question Answering Dataset

복음주의는 16세기 이후부터 개신교회 전체를 칭하던 용어로 사용되었다. 17세기에 형성된 개신교 정통주의 신학 풍토에서 자유주의 신학이 등장하면서 의미가 다양해졌다. 18세기 이후 인간의 감성과 이성을 강조하는 유럽의 복음주의 교회 즉 개신교 내에서 자유주의 신학이 개신교 뿐만 아니라 전체 기독교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하면서 개신교의 자유주의 신학을 복음적이지 않다 즉 개신교 정통주의 신학이 아니라고 주장하는 자유주의 신학의 반동 세력들이 등장하게 된다. 이 반동세력이 자신을 진정한 개신교회 정신인 복음주의 정신을 이어받았다고 주장하였고, 자신들을 복음주의자</b>라고 자칭하였다. 개신교회의 정통 복음주의와 구별하기 위해 이들을 근본주의자</b>와 신복음주의자</b>라고 학술적으로 구별한다. 자유주의 신학 반대 세력 중 급진주의자는 자유주의 신학 영항하의 교회들과 분리를 주장하였고, 이러한 분리주의자의 등장 이후 온건주의적인 세력들도 나타났다. 이들 중 분리주의자인 '급진적 신복음주의자'(급진적 보수주의 신학 계열)들은 흔히 근본주의자</b>로 불리며, 먼저 자신들을 자유주의 신학을 거부한 온전한 복음을 중시한다며 자신을 '복음주의자'라고 자칭했다. 나중에 나타난 온건적 신복음주의 쪽을 '신복음주의(Neo-Evangelical)'라고 구별하여 부르곤 했다. 그러나 현재는 급진적 신복음주의자, 급진적 분리주의의 영향에 있는 쪽을 '근본주의', 그리고 온건적 신복음주의자를 '복음주의'또는 '신복음주의'라고 부르고 있다. 그러나 아직도, 특히 영어권 미주 지역과 그 영향을 받은 한국 기독교 매체에서, 근본주의와 신복음주의를 복음주의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어서 용어 사용 및 의미 파악에 주의를 요한다.